1959년, 박재홍의 ‘유정천리’는 시대의 아픔과 가족의 그리움을 담아낸 명곡입니다.
도시에서 상처받은 이가 어린 아들의 손을 잡고 고향으로 돌아가는 모습을 그린 이 노래는, 힘겨운 삶 속에서도 따뜻한 정과 희망을 노래하는데요.
구수한 음색과 담담한 가사, 그리고 시대를 관통한 여운이 오늘날까지 깊은 울림을 전해줍니다.
'박재홍 유정천리' 🎶
원곡 가수: 박재홍
작사: 반야월
작곡: 김부해
발매일: 1959년
제작사: 신세기레코드
앨범: 유정천리 / 오늘도 너를 찾아
노래에 담긴 이야기 :
‘유정천리’는 1959년 개봉한 남홍일 감독의 동명 영화 주제가로, 도시에서 실패한 주인공이 감옥에 다녀온 뒤 아들과 함께 고향으로 돌아가는 여정을 그립니다.
아내는 떠나고, 세상에 지친 가장이 어린 아들의 손을 잡고 두메산골로 돌아가겠다는 결연한 의지를 노래합니다.
특히 이 곡은 단순한 가족의 이야기를 넘어, 1960년대 격동의 사회상과 서민의 애환, 그리고 실향민의 그리움까지 담아내며 당시 대중들에게 큰 위로와 공감을 주었습니다
유정천리를 들을 때마다, 어린 시절 할아버지 손을 잡고 시골길을 걷던 기억이 떠오릅니다.
비록 가진 것은 많지 않았지만, 고향의 흙내음과 가족의 온기가 얼마나 큰 힘이 되었는지 새삼 깨닫게 됩니다.
특히 원곡 박재홍의 구수한 목소리는 마치 내 이야기처럼 가슴 깊이 파고들어, 듣는 이로 하여금 지난 세월의 아픔과 그리움을 함께 나누게 합니다.
'박재홍 유정천리' 가사
가련다 떠나련다 어린아들 손을잡고
감자심고 수수심는 두메산골 내 고향에
못 살아도 나는 좋아 외로워도 나는 좋아
눈물어린 보따리에 황혼빛이 젖어드네
세상을 원망하랴 내 아내를 원망하랴
누이 동생 혜숙이야 행복하게 살아다오
가도 가도 끝이 없는 인생길은 몇굽이냐
유정천리 꽃이피네 무정천리 눈이오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유정천리’라는 제목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A1. ‘유정천리’는 정이 서린 고향으로 가는 길이라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반대 의미로 무정천리’(정이 없는 먼 길)라는 표현도 있습니다.
Q2. ‘유정천리’를 리메이크한 가수는 누구인가요?
A2. 원곡 가수는 박재홍이며, 이후 주현미, 홍지윤 등 여러 가수들이 리메이크하여 불렀습니다.
Q3. ‘유정천리’가발표된 시대적 배경은 어떠했나요?
A3. 1959년 발표된 ‘유정천리’는 한국전쟁 이후 어려운 삶을 살아가던 국민들의 정서를 반영한 곡입니다.
'가사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민 산골 소년의 사랑이야기[1992] : 곡정보 가사 감상 (0) | 2025.05.12 |
---|
댓글